본문 바로가기
국내/제주도

제주도 함덕 무거버거, 건강한 수제버거와 멋진 공간

by Å▒ 2021. 1. 27.

제주도 함덕 무거 버거, 건강한 수제버거와 멋진 공간

  • 이용시간: 10시~ 20시 (라스트 오더 19시)
  • 입장료: 버거 단품 8500원, 버거 탄산 세트 12000원, 버거 셰이크 세트 15500원
  • 주소: 제주 제주시 조천읍 조함해안로 356 무거 버거

 

아침 겸 점심을 먹기 위해 제주도 함덕해수욕장 근처에 수제 버거 집으로 향했다.

무거 버거라는 곳인데 영어로는 MOOGER BURGER라 쓰고,

MGBG라고 줄여 말하는 것 같다.

(이거 무거라~ 할 때 무거인 건가?)

 

 

지어진지 얼마 안 된 것 같은 건물이 매우 멋지다.

수제버거 집이라고 상상할 수 없는 외관이다.

궁금해서 무거 버거 사장님 인스타에 들어가 보니,

무거 버거를 운영하신지는 오래되었지만, 이 건물을 지은 건 그다지 오래되지 않은 것 같다.

 

 

새로 지어졌거나 인테리어를 갓 끝낸 식당은 뭔가 음식 맛이 아직 다듬어지지 않아서 두려운 경우가 많았는데,

다른 곳에서 오랜 시간 판매해 오셨다고 하니까 신뢰가 생겼다.

 

 

건축물에 들어가는 동선은 우리가 흔히 아는 패스트푸드점과 정반대다. 

오히려 미술관이나 종교 건축물의 진입동선이랑 가깝다.

주출입구로 한 번에 들어가지 않고 콘크리트 벽을 따라 돌아가게 만들었다.

건강한 수제버거를 통해 패스트푸드보다는 슬로우푸드를 지향하는 가게라는 인상을 받았다.  

 

이쯤 되면 사장님이 건축을 공부하셨던 건지 궁금하다.

일본 건축가 안도 다다오의 건축 어휘랑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는 제주도 섭지코지에 위치한 유민 미술관을 짓기도 했다.

 

 

가장 밖에 있는 돌담은 제주도의 현무암이다.

그 안에는 노출 콘크리트, 가장 안에는 흑색의 나무 외장재로 마무리되어있다.

내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밖에 있는 현무암 돌담이 완전한 검은색이었으면 더 멋있었을 것 같다.

 

현관을 들어서면 천장이 기다랗게 뚫려있다.

그리고 그 위에는 물을 떠받들고 있는 유리 지붕이 보인다. 

낮에는 인공조명 대신 천창을 통해 자연채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이다.

시시각각 변하는 햇빛이 물을 통과하면서 더 다이내믹한 모습의 빛을 자아낸다.

 

 

제주도에 있는 일반 수제버거집이라고 생각할 수 없게 설계를 잘했다.

콘크리트와 나무의 조화도 상당하다.

무엇보다 빛이 들어오는 천장의 기다란 보이드가 인상적이다. 

 

 

카운터도 매우 깔끔하다.

직원은 2~3명 정도 근무하셨는데, 수제버거라서 주문 후 15분 정도 걸린다. 

 

무거 버거(MGBG)는organic flour, jeju vegetable, fresh meat을 주재료로 

"자연과 가까운 버거를 만듭니다"가 슬로건이다.

그래서 당근, 시금치, 마늘 버거 이렇게 3가지 종류가 있다.

 

 

가격은 메뉴판과 같다.

나는 감자튀김이 안 끌려서 당근 버거 단품이랑 당근 셰이크를 시켜서 먹었다.

역시 제주도 하면 당근 아니겠습니까?

 

 

드디어 음식 리뷰!!

일단 빵을 반죽할 때 당근을 넣어서 색을 낸 것 같다.

무거 버거는 매일 아침 빵을 굽는다고 한다.

수제 버거답게 가격은 깡패였지만 그만큼 깔끔하고 건강한 맛이었다.

당근 말린 것 같은 것도 거부감 없이 맛있었다.

 

당근 셰이크는 사진을 못 찍었다. (맛집 블로거 되려면 아직 멀었다...)

당근쉐이크는 진짜 내 스타일이었다. 나한테는 일반 밀크셰이크보다 오히려 안 느끼했다.

 

 

2층도 올라가서 구경했는데, 

아까 1층에서 봤던 유리천장의 모습이다.

경사진 유리 천장에 물이 고여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테라스처럼 나갈 수 있는 것 같다.

 

 

2층 좌석은 대부분 바 테이블이었다.

바닷가 근처 맛집이다 보니 오션뷰 쪽으로 앉으면 정말 좋다.

나는 좌석이 모두 꽉 차서 바다 쪽으로는 앉지 못했다.

 

총평: 건강한 수제버거 맛집이자 오션뷰 맛집, 그리고 건축 맛집!

 

 

당근 수제버거 하니까 조천읍 평대리에서 당근 카페 간 거 생각나서 아래에 링크 투척합니다~ 

cholli56.tistory.com/130

 

댓글